거시조직theory(이론)(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4 20:20
본문
Download : 거시조직이론(Ⅱ).hwp
제4절 제도화理論
조직은 기술적 environment 뿐 아니라 제도적 environment을 갖고 있다아
기능이나 역할 네트워크가 조직 구조를 결정한다는 구조적 기능주의이다.
1. Scott
제도화를 개인이 사회적 실체에 대한 관념 규정을 공유하는 사회적 과정으로 규정
과정에 주의를 기울임
갈등적 목표(goal)를 상정
2. Perrow
직무영역, 권한 및 운영목표(goal)간의 관계를 상정할 수 있다고 제안
3. Morgan
文化(문화)적 은유는 조직과 environment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거시조직theory(이론)(Ⅱ)
1. 공동체생태학理論(Community Ecology or Collective Strategy)
① 공동체 생태학理論(공동책략理論)은 기본적으로 조직은 environment과의 관계 속에서 그 활동을
영위하고, 조직의 생존과 성과는 다른 조직들과의 관계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음
② 이 분야의 연구들은 연구자들에 따라 공동체 생태학, 공동책략, 조직간 네트워크, 책략적
네트워크 등의 상이한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음
③ 공동체 생태학理論은 사회생태학적 접근방법에 바탕을 두고 있음
※ 조직군 생태학理論은 조직의 존재를 설명(explanation)하는데 있어서 environment의 影響에 초점을 두는 반면
사회생태학에 근거하고 있는 공동체 생태학理論은 공동의 노력에 의해 자연적인 environment을 극복하고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사회 environment을 형성하고 통제하려는 조직들의 적극적인 노력에 초점
2. 자원의존理論 VS 공동체 생태학 理論
(1) 자원의존理論 : 개별 조직에 초점을 맞추고 개별 조직이 environment에의 자원 의존을 탈피하기 위한 책략적 수단으로서의 조직간 네트워크를 고려
(2) 공동체 생태학 理論 : 거시적인 조직간 관계 그 자체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
거시조직theory(이론)(Ⅱ)에 대한 요약 요약 글입니다.
3. 공동 책략의 역기능
(1) 개별 조직의 책략적 유연성을 감소
(2) 외부적 제약의 影響을 증대
(3) 새로운 진입조직이 등장해서 조직의 자체적인 adaptation(적응) 능력 저하
environment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조직들의 공동적인 노력을 설명(explanation)해 준다.제7장조직환경 , 거시조직이론(Ⅱ)경영경제레포트 ,
제7장조직환경
다.
4. Se…(drop)
,경영경제,레포트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순서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Download : 거시조직이론(Ⅱ).hwp( 87 )
거시조직이론(Ⅱ)에 대한 요약 정리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