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중재보고서 - 전해질 불균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4:33
본문
Download : 간호중재보고서 - 전해질 불균형.hwp
(1) 진단적 간호계획
① 활력징후, 혈압, 체중, 섭취량과 배설량, 갈증, 입⋅혀⋅구강점막, 의식수준, 감각수준의 변화, 수분 섭취량, 섭취하는 음식과 Na+포함 정도, 약물복용, 요 비중을 사정한다.
(2) 치료적⋅교육적 간호계획
① 고Na혈증 정도에 따라 치료를 실시한다.
②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의 증상⋅증후를 observation한다.
…(省略)






간호중재보고서 - 전해질 불균형
전해질 불균형의 경우에 대한 간호중재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간호학]전해질불균형의간호중재 , 간호중재보고서 - 전해질 불균형의약보건레포트 ,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다. 왜냐하면, 급격히 교정되면 세포외액 삼투압(ECF osmolarity)감소로 뇌부종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므로 1mEq/l를 넘지 않아야 하고, 수분부족, 총 체액을 알아야 한다.
고Na혈증은 서서히 교정해야 한다. 수분과다로 인한 심장부담으로 울혈성 심부전, 수분과다와 갑작스런 삼투압 상승으로 인한 폐부종과 호흡정지는 사망의 요인이 된다된다.
Download : 간호중재보고서 - 전해질 불균형.hwp( 93 )
[看護學(간호학)]전해질불균형의간호중재
전해질 불균형의 경우에 대한 간호중재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레포트/의약보건
Ⅰ. Na+ 불균형
1. 고Na혈증(hypernatremia)
2. 저Na혈증(hyponatremia)
Ⅱ. K+불균형
1. 고K혈증(hyperkalemia)
2. 저K혈증(hypokalemia)
Ⅲ. Ca++불균형
1. 고Ca혈증(hypercalcemia)
2. 저Ca혈증(hypocalcemia)
Ⅳ. Mg++불균형
1. 고Mg혈증(hypermagnesemia)
2. 저Mg혈증(hypomagnesemia)
Ⅴ. P 불균형
1. 고인산혈증(hyperphosphatemia)
2. 저인산혈증(hypophosphatemia)
Ⅵ. Cl 의 불균형
① 고Na혈증, 수분부족 : ㉮심한 저혈량증이면 등장성 식염수(또는 1/2 식염수)주입, ㉯경증 저혈량이면 1/2 식염수, 또는 5%DW, IV
② 고Na혈증, 정상수분 : ㉮구강으로 다량의 수분섭취, ㉯5%DW IV
③ 고Na혈증, 고혈량증 : 5%DW + loop 이뇨제(예 : furosemide)
7) 간호진단⋅계획 및 간호중재
간호目標(목표) : 말초부종⋅욕창⋅합병증 방지, 신체 외상을 방지한다.